추적 사건과 진실

  • 방송정보 | 종영방송
  • 출연진행:

공식 SNS

김정일의 친필지시, 전두환을 암살하라 3

추적 사건과 진실
작성자
국민통일방송
작성날짜
2011-08-19 21:04




2008년 5월 18일 버마의 감옥에서 아웅산 폭탄테로 사건의 마지막 생존자인 강민철이 사망했다. 1983년 테로 사건으로 수감된지 25년만의 일이다. 전두환을 암살할 목적으로 아웅산 국립묘소를 폭파한 공작원들은 1명은 사살, 1명은 교수형, 강민철만 살아남았다가 쓸쓸하게 최후를 마쳤다. 김정일의 친필지시를 철저히 따른 대가였다. 심지어 김정일은 강민철을 남조선 공작원으로 규정하면서 아웅산 테로 사건을 남조선의 자작극으로 몰아갔다. <추적 사건과 진실, 김정일의 친필지시, 전두환을 암살하라>



10시25분경 버마 경찰의 호위를 받으며 묘소 앞에 당도한 남조선 리계철 버마 대사는 두 줄로 도열해 있는 전두환 대통령의 수행원들과 일일이 악수를 나눴습니다. 멀리서 보면 상관이 아랫사람과 인사를 나누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 장면이였습니다. 인사를 마친 리계철 대사도 자기 자리로 올라섰습니다. 한편 취재를 위해 관료들과 함께 서 있던 기자들은 전두환 대통령의 도착 시간이 다 된 것 같아 단상에서 내려왔습니다. 동아일보 최규철 기자와 경향신문 윤구 기자가 돌계단을 내려섰을 때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부는, 위령 나팔소리’가 울렸습니다.



최규철 : 윤기자, 위령나팔은 대통령이 와야 불어야 하는 것 아닌가? 주빈이 오지 않았는데 웬 나팔이지. 이상하지 않아?



윤규 : 그러게...... 에이 뭐, 버마 국립묘소는 다른가 보지. 연습을 하는 것일 수도 있을 테고....



두 기자가 묘지 바깥으로 약 5미터쯤 걸어 나왔을 때였습니다.



꽝, 꽝



사건 현장에서 극적으로 살아난 남조선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당시를 떠올렸습니다. 아웅산묘지의 단상 위에서 둘째 줄 왼쪽 끝에 서 있었던 최재욱 청와대 공보 비서관의 증언을 들어보겠습니다.



최재욱 : ‘꽝’하는 폭음과 함께 머리에 심한 충격을 받고 쓰러졌다가 일어나 보니 주위는 연기와 먼지로 자욱했고 도열했던 수행원들은 모두 처참한 모습으로 쓰러져 있었습니다.



중앙일보 송진혁 기자가 겨우 정신을 차려 주위를 둘러보았을 때 처참한 광경이 눈으로 파고들었습니다.



송진혁 : 구멍 뚫린 지붕, 깨어져 나가 바닥에 흩어진 대리석 장식물들, 시커멓게 타고 있는 서까래더미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윗몸을 무너진 천장 더미 속에 파묻힌 채 엎어져 있는 사람들도 여럿이 보였고, 찢어진 런닝구 차림으로 뛰쳐나가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MBC 텔레비죤의 보도국 카메라 취재부에 있는 임채헌, 이재은 기자는 곧 대통령이 도착한다는 연락을 받고 묘지 바깥으로 대여섯 걸음을 옮겼을 때 등 뒤에서 ‘꽝’하는 폭발음을 들었습니다.



임채헌 : 돌아다보니 먼지 때문에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엉겁결에 몇 걸음 뛰어 갔다가 다시 돌아보니 천장이 완전히 내려앉았고 수행원들이 그 밑에 깔려 있는 것이 보였습니다. 파묻힌 피투성이의 수행원들 가운데 반수는 즉사한 것 같았습니다.



이재은 : 무너져 내린 천장, 서까래, 주단과 대리석 위를 적신 선지피, 자욱한 먼지와 화약 냄새, 끔찍한 비명 소리, 모든 것이 눈 깜짝할 사이에 벌어졌습니다.



이 폭탄테로로 남조선의 부총리, 대통령 비서실장, 외무부 장관, 상공부 장관 등 17명이 목숨을 잃었고 리기백 합동참모본부의장 등 15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사망자의 시신은 끔찍했습니다. 특히 폭탄의 파편방향에 서 있던 앞줄에 사망자가 집중되여 있었는데, 이들 대부분은 심한 화상과 파편 때문에 얼굴을 알아볼 수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가족들에게 차마 얼굴을 보여주지 못하였습니다.



버마 랑군에서의 폭탄테로 사건은 그날 오후 AP통신을 통해 세계로 퍼져 갔습니다. 세계의 눈은 랑군과 서울로 집중되였습니다. 남조선 정부는 전군에 비상령을 내렸습니다. 경찰들도 비상근무 체제로 돌입했습니다. 남조선 주요 관공서와 방송국 등 공공기관들에 경찰이 배치되면서 일요일 오후의 평온함은 긴장감으로 바뀌였습니다.



한편 전두환 대통령은 그날 오후 4시 산유 버마 대통령과 함께 사망자와 부상자를 후송한 제2육군 병원에 나타났습니다. 공작원들의 표적이였던 전두환 대통령은 어떻게 해서 목숨을 건질 수 있었던 것일까요. 그것은 운이 좋았다고 밖에 달리 설명할 길이 없었습니다. 아웅산 국립묘지에서 폭발음이 울릴 당시 전두환 대통령은 귀빈로라고 불리는 프롬로(路)로 막 들어서고 있었습니다. 그곳은 묘소로부터 1.5킬로미터 떨어진 지점이였습니다. 안내를 맡은 버마 외무상이 늦게 도착한 바람에 숙소에서 출발이 늦어진 것입니다.



버마 외무상의 지각도 지각이지만 전두환 대통령이 정말 운이 좋았던 것은 공작원들의 착각 때문이였습니다. 아웅산 묘지에서 200미터 떨어진 주유소에서 폭탄원격장치를 누를 순간만을 기다리고 있던 공작원들이 치명적인 실수를 한 것입니다. 공작원들은 버마 경찰의 호위를 받아 아웅산묘지로 들어가는 리계철 버마 대사를 전두환 대통령으로 착각했습니다. 도로에서 차창에 비친 리계철 대사의 벗겨진 머리를 목격했고, 리 대사가 묘소로 들어섰을 때 위령나팔까지 울리자 남조선 대통령으로 확신한 것입니다. 공작원들의 책임자인 진모소좌는 자신들의 실수를 깨닫지 못한 채, 강민철과 신기철 대위에게 랑군강 하구로 가서 탈출용 배를 기다리라고 지시하였습니다.



<추적 사건과 진실, 김정일의 친필지시, 전두환을 암살하라>, 세 번째 이야기를 마칩니다.





*참고 및 인용 자료:

1. 아웅산테러 20년: 미얀마.서울 입체취재: 공작원 강민철 “한국 가고 싶다”(주간조선. 2003.10.02)

2. 아웅산테러 20년: 굳게 닫힌 철문... 군인.경찰 ‘철통 경비’(주간조선. 2003.10.02)

3. 아웅산 테러 20년: 잊혀진 유족들의 삶(월간조선. 2003.10월호)

4. 운명의 나팔소리-버마 아웅산 국립묘소 암살.폭발사건(월간조선. 1983.11월호)

5. “남도 북도 다 싫다” (주간조선. 1995.10.05)

전체 0

국민통일방송 후원하기

U-friends (Unification-Friends) 가 되어 주세요.

정기후원
일시후원
페이팔후원

후원계좌 : 국민은행 762301-04-185408 예금주 (사)통일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