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장엽 회고록

  • 방송정보 | 종영방송
  • 출연진행:

공식 SNS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 7

황장엽 회고록
작성자
국민통일방송
작성날짜
2011-08-16 17:29




지난 이야기: 모스끄바 유학을 마치고 평양에 돌아온 황장엽은 1953년 김일성대학 철학 강좌장으로 배치됩니다. 전쟁이 끝난 직후였기 때문에 평양은 해방 전보다도 더 어려워 보였습니다. 먹을 것도 마땅치 않은 그 속에서 황장엽은 열과 성을 다해 강의를 했고 많은 학생과 교원들이 그의 강의를 열심히 들었습니다.





철학 강좌는 거의가 6·25 때 월북한 사람들이 수강했다. 그들은 서울대학을 비롯한 남쪽의 대학강단에 선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나이가 적은 나를 스승과 같이 대하면서 하나라도 더 배우려고 애썼다. 특히 함봉석 선생은 지식이 남달랐는데, 주로 독일고전철학을 연구하고 있었다. 나는 헤겔의 변증법에는 의문이 많았으므로 소련학자들이 해설한 것을 전달하는 데 그쳤다.



그런데도 함 선생은 매우 감동한 채 질문을 계속하면서 내 지식을 나누어 가지려고 노력했다. 나는 시간이 나면 연구하려고 수집해둔 독일고전철학에 관련된 자료를 모두 함 선생에게 넘겨주었다. 얼마 뒤 그는 내가 준 자료를 이용하여 『독일고전철학』이라는 제목의 두툼한 책을 출간했다. 나는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주위의 평이 좋았다.



책을 출간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함 선생이 나를 찾아와 원고료를 많이 탔다면서 봉투 하나를 내밀었다.



“왜 이걸 저에게 줍니까?”



“강좌장 선생님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책을 내지 못했을 겁니다. 성의니 받아주십시오.”



나는 나도 모르게 폭소를 터뜨렸다. 돈 봉투를 돌려주면서 선생의 머리가 좀 돈 것 같다고 농담을 건넸지만, 함 선생의 순박함에는 그저 감탄했다. 대학에서는 강좌장들에게 교수들이 강의하는 걸 참관하고 교수안을 검열하라고 강조했지만 나는 그에 따르지 않았다. 교원은 자기가 아는 만큼 가르칠 수 있는 것인데, 공부는 시키지 않고 교수검열만 한다는 것은 소용이 없다는 생각에서였다. 교수들이 그런 나의 입장을 전폭적으로 지지한 것은 말할 나위도 없었다.



대신에 나는 교수들과 세미나를 자주 열었다. 나는 대학총장과 대학 당위원장의 신임을 받아 교원들을 대표하여 대학 당위원회 부위원장에 피선되었기 때문에, 학부장도 내가 하는 일을 제멋대로 간섭하지 못했다.



내가 유학을 떠나기 전만 해도 북한 철학자들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수준은 매우 낮았다. 그들의 지식이라야 일제 때 단편적으로 읽은 것이 고작이었고, 소련에서 파견되었다는 교수들의 수준도 거기서 거기였다. 그러나 학생들은 철학을 처음 대하는 만큼 교수들이 상당한 지식을 갖고 있는 줄 알고 강의를 들었다.



내가 유학을 가기 전에 김일성대학에서 알마아타종합대학에 적을 둔 조선인 철학자가 철학 강의를 한 적이 있었다. 우리 학교 교수들은 그가 소련에서도 이름 있는 교수인 줄 알고 있었다. 그런데 내가 모스크바대학에서 연구원으로 공부하고 있을 때 마침 알마아타대학에서 교수로 있던 사람이 모스크바대학 연구원으로 왔다. 그는 나보다 1년 후배였다. 내가 예전에 평양에서 소문났던 그 조선인 철학자에 대해 물었더니 그가 바로 자기 조수였다고 말했다.



또 중앙당학교 교장으로 우리에게 철학 강의를 하면서 뽐내었던 소련출신 조선인이 내가 유학하고 있을 때 고관 자격으로 모스크바를 방문했다고 해서 만나본 적이 있다. 그런데 철학은 말할 것도 없고 노어도 엉터리였다. 내가 그의 실력을 안 것도 모스크바에서 수학한 덕이었다. 그는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노작들은 거의 모르고 있었다. 그러니까 초기 북한의 철학자들은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그것을 가르쳤던 셈이다.



1954년 평양에서는 대대적인 복구사업이 벌어졌다. 학생은 물론 교원들도 모두 평양시내에 나가 건설노동에 참가해야 했다. 그래도 학교가 있는 백송리는 중앙에서 멀리 떨어진 산골이었기 때문에 중앙의 간섭과 통제가 심하지 않아 공부하기에 유리했다.



나는 당시 『사회발전사 개요』라는 소책자와 꽤 여러 편의 논문을 써서 원고료를 받았는데, 대학에서 받는 월급과 비슷한 액수로 상당한 금액이었다. 나는 열정적으로 1년에 1천여 장을 썼다. 그것도 교과서 집필을 제외한 분량이었다.



1955년 말, 평양에 있는 본교사의 복구가 어느 정도 진척되어 대학이 평양으로 이사를 했다. 다음 해인 1956년에 나는 집을 배당받았는데 상당히 좋은 집이었다. 나는 이사를 한 후 고향에서 줄곧 농사를 지으며 살던 부모님을 당장 모셔왔다. 우리 집은 오랜만에 활기를 되찾았다.



그해 5월에 둘째 딸 노선이 태어났다. 아내는 대학에서 각국 유학생들을 돌보는 사업을 맡아보고 있었다.



숙청의 회오리



학교가 평양으로 나오면서 정치정세도 매우 복잡해졌다. 1953년 모스크바에 유학 중일 때 나는 남로당 지도자들인 박헌영, 이승엽 도당을 숙청한다는 소문을 처음 들었고, 당시 그곳에서도 사상검토 회의가 진행되었다. 나는 당에서 주장하는 것이 사실과 다르다고 짐작했으나, 공산주의자들이 정적에 대해서는 무자비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되도록 정치문제에 대해서는 개입하지 않으려 했다.



황장엽의 회고록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 7부를 마칩니다.

전체 0

국민통일방송 후원하기

U-friends (Unification-Friends) 가 되어 주세요.

정기후원
일시후원
페이팔후원

후원계좌 : 국민은행 762301-04-185408 예금주 (사)통일미디어